우분투 16.04 LTS 일부 버전까진 이더넷의 이름이 eth0이었습니다. 하지만 네트워크 이름이 고정되어 있으면 심각한 보안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 장치에 따라 유동적으로 이름이 변경되도록 바뀐 것 같습니다. (Predictable Network Interface Names 참고)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자신의 이더넷 이름을 볼 수 있습니다.
$ ifconfig
enp0s25: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192.168.0.8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0.255
inet6 fe80::ce69:c1da:bfd5:f899 prefixlen 64 scopeid 0x20<link>
ether d0:50:99:72:73:10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34954 bytes 32641284 (32.6 M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24282 bytes 3283094 (3.2 M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device interrupt 20 memory 0xf3100000-f3120000
만약 몇몇 프로그램에서 네트워크 이름을 eth0
으로 하드코딩하여 구현하였다면 enp??
등의 이더넷에서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eth0로 변경하면 프로그램이 동작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더넷 이름을 eth0
으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th0로 변경하는 방법(Ubuntu18.04)
아래 경로에 새로운 rule 파일을 만듭니다.
$ sudo vim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아래 내용을 파일에 입력합니다. 여기서 address
는 위의 ifconfig로 찾은 자신의 MAC주소를 넣어주고 NAME
은 변경하고 싶은 이름을 넣어줍니다.
저의 경우 MAC주소는 ether d0:50:99:72:73:10
이고, 변경하고 싶은 이름은 eth0
입니다
SUBSYSTEM=="net", ACTION=="add", DRIVERS=="?*", ATTR{address}=="xx:yy:xx:yy:xx:yy", NAME="eth0"
이제 grub 설정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 sudo vim /etc/default/grub
아래 옵션은 아무것도 설정이 안되어 있는데
GRUB_CMDLINE_LINUX=""
아래처럼 변경해줍니다.
GRUB_CMDLINE_LINUX="net.ifnames=1 biosdevname=0"
grub 설정 변경 후, 업데이트해줍니다.
$ update-grub
마지막으로 reboot을 하고 ifconfig 명령어로 이더넷 이름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참고
Recommended Posts:
- Ubuntu 20.04 - SSH 설치와 접속 방법
- Ubuntu에서 imwheel로 마우스 휠 스크롤 속도 변경
- Ubuntu에서 사용할 수 있는 Text Editor 소개
- Ubuntu 20.04 - OpenJDK 11 설치, 삭제
- Ubuntu 20.04 - VLC Player 설치
- Linux의 apt-get 명령어
- apt remove, purge, autoremove 명령어 차이점
- Ubuntu 20.04 - 토렌트 설치
- Ubuntu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그림판(mspaint)과 비슷한 툴 소개
- Linux - Hardware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
- Ubuntu에 OpenJdk 9 설치하는 방법
- AutoKey 설치 및 macro 만들기
- Linux - Bash 쉘스크립트 파일의 절대경로 얻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