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문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과 리스트, 배열 등의 요소들을 순회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for문으로 특정 횟수 반복
아래와 같이 정수 범위 지정하여 특정 동작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1..5: 1에서 5까지 반복5 downTo 1: 5에서 1까지 반복
fun main() {
for (i in 1..5) {
print("$i ")
}
println()
for (i in 5 downTo 1) {
print("$i ")
}
}Output:
1 2 3 4 5
5 4 3 2 11.1 step으로 특정 횟수 반복
step을 사용하면 index가 step 만큼 증가/감소하여 지정한 범위 내에서 반복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 예제에서
1..10 step 2는 1, 3, 5... 처럼 2씩 증가하면서 10에 도달하기 전까지 반복합니다.10 downTo 1 step 2은 10, 8, 6... 처럼 2씩 감소하면서 1에 도달하기 전까지 반복합니다.
fun main() {
for (i in 1..10 step 2) {
print("$i ")
}
println()
for (i in 10 downTo 1 step 2) {
print("$i ")
}
}Output:
1 3 5 7 9
10 8 6 4 22. 배열의 모든 요소 순회
for문으로 배열의 모든 요소를 순회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아래와 같이 in 키워드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예제는 배열의 모든 요소를 순차적으로 순회합니다.
fun main() {
val arr = arrayOf("a", "b", "c", "d", "e")
for (value in arr) {
print("$value ")
}
}Output:
a b c d e2.1 index로 배열 요소 접근
만약 index로 순회하고 싶을 때는 in Array.indices를 사용하면 됩니다. indices는 배열의 index를 갖고 있는 IntRange를 리턴합니다.
아래 예제는 배열의 index 범위를 for문으로 순회하고, index로 배열의 요소 값에 접근합니다.
fun main() {
val arr = arrayOf("a", "b", "c", "d", "e")
for (i in arr.indices) {
print("${arr[i]} ")
}
}Output:
a b c d e2.2 배열의 index와 value 접근
for문에서 배열의 index와 value를 바로 접근하고 싶을 때는, Array.withIndex()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index와 value에 직접 접근할 수 있습니다.
fun main() {
val arr = arrayOf("a", "b", "c", "d", "e")
for ((i, value) in arr.withIndex()) {
println("index: $i, value: $value ")
}
}Output:
index: 0, value: a
index: 1, value: b
index: 2, value: c
index: 3, value: d
index: 4, value: e3. 리스트의 모든 요소 순회
in 키워드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for문에서 리스트의 모든 요소를 순회할 수 있습니다.
fun main() {
val list = listOf("a", "b", "c", "d", "e")
for (value in list) {
print("$value ")
}
}Output:
a b c d e3.1 index로 배열 요소 접근
indices는 리스트의 index의 IntRange를 리턴합니다.
아래와 같이 index로 순회하면서 리스트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fun main() {
val list = listOf("a", "b", "c", "d", "e")
for (i in list.indices) {
print("${list[i]} ")
}
}Output:
a b c d e3.2 리스트의 index와 value 접근
withIndex()를 이용하여 for문에서 index와 value를 직접 접근할 수 있습니다.
fun main() {
val list = listOf("a", "b", "c", "d", "e")
for ((i, value) in list.withIndex()) {
println("index: $i, value: $value ")
}
}Output:
index: 0, value: a
index: 1, value: b
index: 2, value: c
index: 3, value: d
index: 4, value: eLoading script...
Related Posts
- Kotlin - 배열에서 최소 값, 최대 값 찾기
- Kotlin - 2차원 배열 선언, 초기화 방법
- Kotlin - 배열 선언, 초기화 방법
- Kotlin - 리스트에서 최대, 최소 값 찾기
- Kotlin - for 반복문, 배열/리스트 순회
- Kotlin - 리스트, 배열 길이 가져오기
- Kotlin - Timer, 주기적으로 함수 실행
- Kotlin - sleep, 쓰레드 몇 초 지연
- Kotlin - Thread 생성 및 실행
- Kotlin에서 정규표현식 사용하기
- Kotlin - 문자열 길이 계산
- Kotlin - 문자열 비교 방법(equals, ==, compareTo)
- Kotlin - 2개의 배열 하나로 합치기
- Kotlin -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리스트 출력
- Kotlin - 2개의 List 하나로 합치기
- Kotlin - 리스트 정렬 방법 (sort, sortBy, sortWith)
- Kotlin - 문자열 뒤집기 (Reverse String)
- Kotlin - 랜덤 숫자 생성 (Random, SecureRandom)
- Kotlin - Range, 숫자 범위 표현
- Kotlin - 음수를 양수로 변환, math.abs()
- Kotlin - List를 Set로 변환
- Kotlin - Set를 List로 변환
- Kotlin - 문자열에서 숫자(int)만 추출하는 방법
- Kotlin - Map을 List로 변환하는 방법
- Kotlin - File, Directory가 존재하는지 확인
- Kotlin - List를 Map으로 변환
- Kotlin - List의 중복 요소 제거
- Kotlin - List를 Array로 변환
- Kotlin - 엘비스 연산자 (Elvis Operation)
- Kotlin - Array를 List로 변환
- Kotlin - String을 Double으로 변환
- Kotlin - String을 Float으로 변환
- Kotlin - String을 Int로 변환
- Kotlin - String을 Long으로 변환
- Kotlin - String Null 또는 Empty 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