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Lint warning??? eqeqeq ???
React 프로젝트를 빌드하는데, ESLint warnning이 눈에 거슬렸다.
==
를 쓰지 말고 ===
를 써야한다고 한다. 경고 마지막엔 eqeqeq라고 출력되는데 검색해보니 ESLint의 eqeqeq 규칙이라고 한다.
/home/mj/codechacha/src/components/CategoryItem.js
10:18 warning Expected '===' and instead saw '==' eqeqeq
13:18 warning Expected '===' and instead saw '==' eqeqeq
내가 작성한 코드는 아래와 같다.
if (category == 'cpp') {
label = 'C++';
}
if (category == 'csharp') {
label = 'C#';
}
잘 구현하려면 아래와 같이 ===
를 사용해야 한다.
if (category === 'cpp') {
label = 'C++';
}
if (category === 'csharp') {
label = 'C#';
}
왜 ===
를 사용해야할까? eqeqeq 규칙과 ==
비교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ESLint eqeqeq 규칙이란?
ESLint의 eqeqeq 규칙은 동등 비교를 할 때 == 대신 ===를 사용하라고 강제하는 것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
는 암묵적 형변환을 포함해서 비교 (느슨한 비교 -> 예측하지 못한 문제 발생, 버그 위험)===
는 자료형까지 비교해서 더 안전함 (엄격한 비교, 타입까지 체크)
eqeqeq 규칙을 어겼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 (Example!)
==
는 암시적 형변환으로 배열을 boolean과 비교할 수 있고, 아래 보는 것처럼.. 비교 결과가 예상하기 어려움.
console.log([] == false); // true
console.log([0] == false); // true
console.log([1] == true); // true
console.log([1, 2] == true); // false
Javascript는 ==
를 비교하기 전에 자동으로 타입을 강제 변환하는데,
[] == false
의 경우,
[]
의 경우 0으로 변환되고, false도 0으로 변환. 그래서 두개의 boolean을 비교해서 true라는 값이 리턴됨.
[] == false
// Step 1: [] → 숫자 → 0
// Step 2: false → 0
// Step 3: 0 == 0 → true
[1] == true
의 경우는 아래처럼 변환되면서 true가 리턴됨.
[1] == true
// Step 1: [1] → "1" → 숫자 → 1
// Step 2: true → 1
// Step 3: 1 == 1 → true
결론은, ===
를 쓰면.. 이런 예상치 못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 아래 비교는 모두 false를 리턴하여, 비교가 명확해짐.
console.log([] === false); // false
console.log([0] === false); // false
console.log([1] === true); // false
console.log([1, 2] === true); // false
Loading script...
Related Posts
- ESLint warning, Expected '===' and instead saw '==' eqeqeq
- Javascript - 현재 날짜/시간을 항상 한국 기준으로 가져오기
- Javascript - 문자열 사이에 문자 넣기
- Javascript - 버튼 활성화/비활성화 시키는 방법
- Javascript - 버튼 이름 변경하기
- Javascript - div 안의 내용 가져오기, 변경, 추가, 삭제
- Javascript - <ol>, <ul>에 <li> 동적 추가, 삭제
- Javascript - div 생성, 추가, 삭제 방법
- Javascript - 테이블 행(tr) 숨기기, 보이기
- Javascript - div에 링크 거는 방법
- Javascript - 자식 요소(element) 개수 확인
- Javascript - 요소(element) 복사, 붙여넣기
- Javascript - div에 클릭 이벤트(onclick) 설정 방법
- Javascript - 체크박스 선택/해제 시, 텍스트박스 활성화/비활성화
- Javascript - input 숫자만 입력받도록 설정
- Javascript - 자식 노드 모두 제거
- Javascript - 체크박스 선택, 해제 방법
- Javascript - input text 값 가져오기
- JavaScript - 문자열을 배열(Array)로 변환
- JavaScript - 특정 문자열의 포함 여부 확인 (includes, 정규표현식)
- JavaScript - 문자열 비교 방법, 5가지
- JavaScript - 문자열 바꾸기(replace, 정규식 치환)
- JavaScript - 배열 전체 출력 (for, forEach, for in, for of)
- JavaScript - 한번만 실행되는 함수 (once: true)
- JavaScript - 선택된 checkbox 값 가져오기
- JavaScript - div, 태그 안의 내용 가져오기
- JavaScript - element(버튼, div) 보이기 숨기기
- JavaScript - 숫자를 배열로 변경하는 방법
- JavaScript - 부모, 형제, 자식 element 찾기
- JavaScript - 클래스 이름으로 element 찾는 방법
- JavaScript Array find() 함수
- JavaScript Array splice() 함수
- JavaScript의 contains() 함수
- JavaScript sort() 함수, 예제 소개
- JavaScript - Set 생성 및 초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