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Java, Kotlin)에서 Call Stack을 출력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Java
Log
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Call Stack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Log.d(TAG, "Call stack", new Throwable("get stacks"));
Ouput:
09-28 22:10:14.289 15580 15580 D MainActivity: call stack
09-28 22:10:14.289 15580 15580 D MainActivity: java.lang.Throwable: get stacks
09-28 22:10:14.289 15580 15580 D MainActivity: at com.example.myapplication.MainActivity.onCreate(MainActivity.java:16)
09-28 22:10:14.289 15580 15580 D MainActivity: at android.app.Activity.performCreate(Activity.java:7802)
09-28 22:10:14.289 15580 15580 D MainActivity: at android.app.Activity.performCreate(Activity.java:7791)
09-28 22:10:14.289 15580 15580 D MainActivity: at android.app.Instrumentation.callActivityOnCreate(Instrumentation.java:1299)
위와 유사하게 wtf
로그로 간단하게 Call stack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Log.wtf(TAG, new Throwable("get stacks"));
try-catch
를 사용하는 경우, Exception이 발생할 때 Call stack을 출력하면 디버깅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Call stack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예제 코드를 소개하기 위해 throw new Exception()
으로 Exception이 발생하도록 했습니다.
try {
throw new Exception("get stacks");
} catch(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Log
를 이용하는 코드와 차이점은 TAG를 지정할 수 없어 System.err
TAG로 출력된다는 것입니다.
09-28 22:13:43.165 15875 15875 W System.err: java.lang.Exception: get stacks
09-28 22:13:43.166 15875 15875 W System.err: at com.example.myapplication.MainActivity.onCreate(MainActivity.java:18)
09-28 22:13:43.166 15875 15875 W System.err: at android.app.Activity.performCreate(Activity.java:7802)
09-28 22:13:43.166 15875 15875 W System.err: at android.app.Activity.performCreate(Activity.java:7791)
09-28 22:13:43.166 15875 15875 W System.err: at android.app.Instrumentation.callActivityOnCreate(Instrumentation.java:1299)
다음과 같이 구현하면 TAG를 지정하면서 Call stack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try {
throw new Exception("get stacks");
} catch(Exception e) {
Log.d(TAG, Log.getStackTraceString(e));
}
Output:
09-28 22:15:27.982 15980 15980 D MainActivity: java.lang.Exception: get stacks
09-28 22:15:27.982 15980 15980 D MainActivity: at com.example.myapplication.MainActivity.onCreate(MainActivity.java:18)
09-28 22:15:27.982 15980 15980 D MainActivity: at android.app.Activity.performCreate(Activity.java:7802)
09-28 22:15:27.982 15980 15980 D MainActivity: at android.app.Activity.performCreate(Activity.java:7791)
09-28 22:15:27.982 15980 15980 D MainActivity: at android.app.Instrumentation.callActivityOnCreate(Instrumentation.java:1299)
다음과 같이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소개한 방법과 유사합니다.
Log.d(TAG, Log.getStackTraceString(new Exception("get stacks")));
Kotlin
코틀린을 사용하는 경우도 Java와 동일합니다. Log
와 Exception
을 이용하여 Call stack을 출력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Log.d(TAG, "Call stack", Throwable("get stacks"));
try {
throw Exception("get stacks")
} catch (e: Exception) {
e.printStackTrace()
}
Log.d(TAG, Log.getStackTraceString(Exception("get stacks")))
Recommended Posts:
- AIDEGen으로 IDE에서 Android Framework 개발
- Android - adb shell input 명령어 사용 방법
- Android - App VersionCode, VersionName 등 설치 정보 확인
- Android 앱의 SQLite DB 테이블 확인
- Java 코드를 DEX로 변환,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에서 실행
- Android - adb로 실행 중인 프로세스, 쓰레드 리스트 & 메모리 정보 확인
- Android - PlayStore 앱 설치(다운로드) 화면으로 이동하는 방법
- Android - 파일의 MimeType(확장자) 가져오는 방법
- Mockito cannot mock/spy final class 에러 해결 방법
- Android Studio에서 Google Test로 C++ unit 테스트 작성
- Android - Native(C++)에서 Call stack 출력하는 방법
- Android Emulator에서 adb remount 하는 방법 (Writable)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custom framework.jar로 빌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