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ifecycle, LiveData 라이브러리의 Transformations.map()
, Transformations.switchMap()
의 차이점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map()
과 switchMap()
은 LiveData를 위한 라이브러리로, LiveData<X>
타입 데이터를 LiveData<Y>
타입 데이터로 변환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사용 방법 및 목적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1. 리턴 타입
표면적으로 가장 단순한 차이점은 func의 리턴 타입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LiveData<Y> map (LiveData<X> source, Function<X, Y> func)
:LiveData<X>
타입 데이터를LiveData<Y>
타입 데이터로 변환합니다. func에서는 Y 타입의 객체를 리턴.LiveData<Y> switchMap (LiveData<X> trigger, Function<X, LiveData<Y>> func)
:LiveData<X>
타입 데이터를LiveData<Y>
타입 데이터로 변환합니다. func에서는LiveData<Y>
타입의 객체를 리턴.
map()
map()
은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데, 데이터 변환을 처리하는 함수에서 String 타입의 객체를 리턴하면 됩니다. 그럼 map()
내부에서 LiveData<String>
타입의 객체를 리턴합니다.
val userLiveData : LiveData<User> = MutableLiveData(User("Jone", "Doe"))
val userName : LiveData<String> = Transformations.map(userLiveData) { user ->
user.firstName + user.lastName
}
switchMap()
switchMap()
은 데이터 변환을 처리하는 함수에서 LiveData<String>
타입의 객체를 리턴해야 합니다.
val userLiveData : LiveData<User> = MutableLiveData(User("Jone", "Doe"))
val userName : LiveData<String> = Transformations.switchMap(userLiveData) { user ->
MutableLiveData(user.firstName + user.lastName)
}
2. 정적 변환 vs 동적 변환
map과 switchMap을 Google developers에서는 일대일 정적 변환, 일대일 동적 변환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map() : 정적 변환
데이터 변화가 있을 때 즉각적으로 변환만 하면 되는 경우, 아래 코드처럼 map()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LiveData인 Source의 변경이 발생하면 데이터가 변환되어 viewModelResult(LiveData)
를 수신하는 Observer에게 이벤트가 전달됩니다.
class MainViewModel {
val viewModelResult = Transformations.map(repository.getDataForUser() { data ->
convertDataToMainUIModel(data)
}
}
switchMap() : 동적 변환
즉각적으로 데이터 변환이 어려워 초기화 구간에 사용할 수는 없지만, 가까운 미래에 사용해도 된다면 switchMap()
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switchMap()
은 LiveData 객체를 리턴하기 때문에 repository.getDataForUser(user)
에서 미래에 사용할 LiveData를 리턴하고, 준비가 끝났을 때 repository.getDataForUser(user)
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이전에 리턴한 LiveData에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class MainViewModel {
val repositoryResult = Transformations.switchMap(userManager.user) { user ->
repository.getDataForUser(user)
}
}
3. 단순한 작업 vs 오래 걸리는 작업
map()
과 switchMap()
이 Main Thread에서 동작할 때, 작업이 오래 걸리면 UI가 일정 시간 멈추거나 ANR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Stackoverflow 글을 참고하면, 시간이 오래 안걸리는 작업에서는 map으로 구현하는 것이 적절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에서는 switchMap으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switchMap() : Time consuming tasks
다음은 Stackoverflow의 답변에서 소개된 Java 코드인데, switchMap()
은 먼저 LiveData 객체를 리턴하고, 다른 쓰레드에서 오래 걸리는 작업을 수행하고 완료되면 LiveData로 업데이트하도록 구현하였습니다. switchMap()
을 호출하는 쓰레드는 바로 LiveData 객체를 받기 때문에 쓰레드가 Block되는 일은 없습니다. 다만, 다른 쓰레드에서 처리가 완료되어야 LiveData에 데이터가 업데이트됩니다.
LiveData<Integer> mCode = Transformations.switchMap(mString, input -> {
final MutableLiveData<Integer> result = new MutableLiveData<>();
new Thread(new Runnab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 Pretend we are busy
try {
Thread.sleep(5000);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int code = 0;
for (int i=0; i<input.length(); i++) {
code = code + (int)input.charAt(i);
}
result.postValue(code);
}
}).start();
return result;
});
4. Transformations 라이브러리 코드
Transformations.java의 map()
과 switchMap()
의 코드입니다.
map()
LiveData source가 추가된 MediatorLiveData 객체가 리턴됩니다. Source의 업데이트가 발생하면 mapFunction 안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MediatorLiveData에 업데이트합니다. 이 과정에서 LiveData<Source>
또는 MediatorLiveData의 객체가 바뀌지 않습니다.
public static <X, Y> LiveData<Y> map(
@NonNull LiveData<X> source,
@NonNull final Function<X, Y> mapFunction) {
final MediatorLiveData<Y> result = new MediatorLiveData<>();
result.addSource(source, new Observer<X>() {
@Override
public void onChanged(@Nullable X x) {
result.setValue(mapFunction.apply(x));
}
});
return result;
}
switchMap()
MediatorLiveData가 리턴되지만, Source의 변경이 있을 때, func에서 리턴되는 LiveData를 새로운 Source로 MediatorLiveData에 설정하고, MediatorLiveData를 업데이트합니다. 이 과정에서 MediatorLiveData는 변하지 않지만, MediatorLiveData가 수신하는 Source가 변경됩니다.
@MainThread
public static <X, Y> LiveData<Y> switchMap(@NonNull LiveData<X> trigger,
@NonNull final Function<X, LiveData<Y>> func) {
final MediatorLiveData<Y> result = new MediatorLiveData<>();
result.addSource(trigger, new Observer<X>() {
LiveData<Y> mSource;
@Override
public void onChanged(@Nullable X x) {
LiveData<Y> newLiveData = func.apply(x);
if (mSource == newLiveData) {
return;
}
if (mSource != null) {
result.removeSource(mSource);
}
mSource = newLiveData;
if (mSource != null) {
result.addSource(mSource, new Observer<Y>() {
@Override
public void onChanged(@Nullable Y y) {
result.setValue(y);
}
});
}
}
});
return result;
}
References
Related Posts
- Android 14 - 사진/동영상 파일, 일부 접근 권한 소개
- Android - adb push, pull로 파일 복사, 다운로드
- Android 14 - 암시적 인텐트 변경사항 및 문제 해결
- Jetpack Compose - Row와 Column
- Android 13, AOSP 오픈소스 다운로드 및 빌드
- Android 13 - 세분화된 미디어 파일 권한
- Android 13에서 Notification 권한 요청, 알림 띄우기
- Android 13에서 'Access blocked: ComponentInfo' 에러 해결
- 에러 해결: android gradle plugin requires java 11 to run. you are currently using java 1.8.
- 안드로이드 - 코루틴과 Retrofit으로 비동기 통신 예제
- 안드로이드 - 코루틴으로 URL 이미지 불러오기
- Android - 진동, Vibrator, VibrationEffect 예제
- Some problems were found with the configuration of task 에러 수정
- Query method parameters should either be a type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database column or a List
- 우분투에서 Android 12 오픈소스 다운로드 및 빌드
- Android - ViewModel을 생성하는 방법
- Android - Transformations.map(), switchMap() 차이점
- Android - Transformations.distinctUntilChanged() 소개
- Android - TabLayout 구현 방법 (+ ViewPager2)
- Android - 휴대폰 전화번호 가져오는 방법
- Android 12 - Splash Screens 알아보기
- Android 12 - Incremental Install (Play as you Download) 소개
- Android - adb 명령어로 bugreport 로그 파일 추출
- Android - adb 명령어로 App 데이터 삭제
- Android - adb 명령어로 앱 비활성화, 활성화
- Android - adb 명령어로 특정 패키지의 PID 찾기
- Android - adb 명령어로 퍼미션 Grant 또는 Revoke
- Android - adb 명령어로 apk 설치, 삭제
- Android - adb 명령어로 특정 패키지의 프로세스 종료
- Android - adb 명령어로 screen capture 저장
- Android - adb 명령어로 System 앱 삭제, 설치
- Android - adb 명령어로 settings value 확인, 변경
- Android 12 - IntentFilter의 exported 명시적 선언
- Android - adb 명령어로 공장초기화(Factory reset)
- Android - adb logcat 명령어로 로그 출력